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이 말한 Soulbound token (SBT) 무엇인가 ?

by 권루미 2022. 6. 8.
반응형

 

 

오늘은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이 말한 Souldbound token ( 이하 SBT ) 에 대해서 적어볼까합니다.

( 앞으로 전망이 좋아보여서 공부할겸 적어봄.. )

 

대체로 코인판은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도는 것 같음.

Defi - NFT - P2E 이런식으로.. 흘러가는듯

제 블로그를 예전부터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흐름을 알수 있음

( 비트코인스테이킹 하는법 - 팬케이크스왑NFT - 버니콘 )

 

항상 크립토시장에서 주제는 확 오른다음에 금방 식음..

( 비트코인 스테이킹은 지금까지 쭉 이어져있지만.. )

 

가상화폐 스테이킹 ( 업비트 ) 관련 글 :

https://lumiworld.tistory.com/281

 

업비트 스테이킹 서비스 공개!, 이제 국내거래소에서도 스테이킹을 맡겨서 코인 이자를 받을 수

http://pf.kakao.com/_IHdzb lumi 가상화폐 관련 분석 및 일상/맛집 소개 pf.kakao.com ★ 글 하단에서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빠르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무료) ★ ★ 카카오톡 채널 뷰를 추가해주시면

lumiworld.tistory.com

 

 

그리고 이전부터 NFT는 계속 있었겠지만 내가 가장 먼저 접한것은 팬케이크스왑에서 구매할 수 있었던 NFT..

그때 가격으로 60만원 상당의 BNB를 구매해서 민팅을 시도했지만 실패함

( 지금은 가격이 떨어졌지만 그때 구매 후 바로팔아도 600만원가량은 됐엇던걸로 기억 )

 

 

NFT 시장이 끝나고 나서 이후에 P2E가 오르기 시작함

나는 버니콘으로 P2E를 시작해서 멘징하고 하루에 2~3만원 수익벌다가 나옴..

그때는 멘징이 뭔지도 몰랐었는데 무슨생각으로 바로바로 가져다 팔았는지 잘 모르겠음

항상 P2E의 끝은 정해져있듯이 채굴할 수 있는 토큰들이 나락을 가면서 멸망을 함 

( 얼마전 메타팡부터 시작해서 크립토유, 사드 심지어 스테픈까지 나락가는 중 )

 

버니콘 관련 글 :

https://lumiworld.tistory.com/121

 

40만원 투자해서, 한달에 투자금액 뽑는 게임 : 버니콘(BUNICORN)을 해봤어요 + 하는방법 설명

오늘은 버니콘이란 게임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요즘 액시인피니티라는 게임이 유행을 타고잇지요, 현재 배트남에서 근로소득으로 버는 금액보다 액시인피니티게임으로 버는 금액이 더 많다

lumiworld.tistory.com

 

이제 P2E가 끝나고 나서 DAO의 시대가 잠깐 왔다가..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다시 붐이 오게될지는 아무도 모름..!!

하지만 조금 더 확률에 높은곳에 배팅을 해야하는게 크립토시장이라고 생각함

그게 지금 내가 적고있는 주제인 "SBT" 

 

 

SBT는 Soulbound token의 약자로,

기존에 WOW라는 게임에서 교환불가 아이템을 Soulbound라고 불렀었음

그렇기에 교환불가(귀속) 토큰정도라고 이해하면 됨

( wow를 안한다면 메이플스토리 초기시절 자쿰의투구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울거임 )

 

현재 NFT는 많은 혜택을 주기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증명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함

( 사실상 증명하는 방법이 더 크다고생각함 )

 

 

예시로 둔다면 BAYC가 있다고 생각함,

혜택은 그렇다 치고 BAYC를 가지고있다? 나는 부자다 라는 증명해주는 NFT 라고 생각함.

 

 

그렇다면 SBT는 WEB 3.0 에서 어떤 역할을 보여줄까?

버탈릭이 예시로 든 대표적인 사례는 학위증명서가 있다.

 

하버드대, 서울대 등 고학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학위에 대해 자부심이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하버드대, 서울대 졸업증을 SBT를 개인지갑으로 발급해준다고 생각해보자,

( SBT에는 학력을 넘어서 직장 및 이력/경력도 넣을 수 있겠지 )

 

SBT는 위에서도 적었다시피 교환 및 양도가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오직 하버드대, 서울대를 졸업한사람만 가질 수 있게끔 된다.

주변에서 보게된다면 이 사람은 의심의 여지 없이 하버드대에 졸업했구나라고 생각을 할 수 있다.

 

https://tv.naver.com/v/12352168

 

'기생충' 흑백판 예고편

네이버 영화 예고편 저장소

tv.naver.com

 

그리고 현실에서는 학위위조하는사람도 굉장히 많음ㅋㅋㅋㅋ

정치권 빼고도 구라치는 사람많음

( 영화 기생충 생각나는건 나만 그런건가..? )

 

위에서도 간략하게 적었다시피 학위에서 끝이 나지 않는다.

조금 더 다양하게 응용이가능하다.

 

 

1. 대출

현재 크립토 시장에서 대출 시스템을 이용할 수 가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토큰을 담보로 맡긴다음에 다른 토큰을 대출해서 수익을 낼 수 가 있다.

비트코인은 탈중앙에 가깝기 때문에 자신을 증명할 방법이 많지 않음

하지만 이러한 부분을 어느정도 해결 할 수 있는게 SBT 라고 생각함

( 자신의 SBT에 대출, 대출상환, 수익률, 신용등급을 새길 수 있다고 생각함 / 현실에서의 신용 느낌 생각 )

 

출처 : 메타팡

 

2. 개발

자신이 크립토세상에서 개발을 한다거나 신규 프로젝트를 런칭하려는 사람의 경우에 해당됨

지금까지는 신분을 증명한다고만 해도 어느정도 먹혀주는 기분임..

하지만 구라치는 사람들도 엄청 많고 공개 안하는사람도 많음

대놓고 러그풀 치지 않게다는걸 보여주기 위해서 최소한의 자신의 이름 및 대학교 공개 느낌이지 자신의 제대로된 신분증명하는느낌은 없음

 

또한,

현실에서 나는 삼성에서 경력 3년있고 구글에서도 경력 5년 근무했어.

그러니깐 나는 어느정도 실력이 있는사람이야

이런식으로 표현을 한다면 현실에서는 확인이 어느정도 가능한 부분임

( 작정하고 위조하고 사기치지 않는 이상은.. )

 

이러한것을 크립토시장에도 접목시켰다고 생각하면됨.

SBT에 나는 APE BAYC 에서 3년동안 개발에 참여했고 선미야에서도 5년동안 프로젝트를 이끌었어

이걸 SBT에 새겨둠으로써 확신한 증명이 되는것임

 

이정도 인것 같은데..

아직 토큰이 나오지 않아서 서서히 공부를 해봐야 되는 부분으로 보임

그래도 관심을 두고 있으면 초기에 접근을 해서 남들보다 빠르게 잡을 수 있는건 확실함

( P2E든 뭐든 초기선점은 돈이된다는건 불변의 법칙 ㅋㅋㅋㅋ )

 

자세한건 논문을 통해서 공부를 하는게 조금 더 도움이 될것으로 보여짐

논문은 아래에 링크를 남겨 두겠습니다.

 

논문 주소 :

https://www.researchhub.com/paper/1270814/decentralized-society-finding-web3s-soul

 

Decentralized Society: Finding Web3's Soul

Web3 today centers around expressing transferable, financialized assets, rather than encoding social relationships of trust. Yet many core economic activities—such as uncollateralized lending and building personal brands—are built on persistent, non-tr

www.researchhub.com

 

 

토큰은 올해말에나 나올것으로 보여짐,

앞으로 공부하면서 종종 추가적으로 글을 적을 예정.

 

그럼 이만 글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은 SBT에 대해서 작성해봤는데 확실히 내용만 봐서는 괜찮아 보입니다.

이더리움의 창시자가 말했다고 하니까 조금 더 관심이 가는것도 사실이구요.

뭐든 투자를 할때는 DYOR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그럼 20,000

 

아, 그리고 논문말고 간략하게 보고 싶다면 아래 글 참조하시길 !

https://www.cryptotimes.io/what-are-soulbound-tokens-sbts/

 

What Are Soulbound Tokens (SBTs) & How Do They Work?

SBTs or Soulbound Tokens are non-transferable and publicly visible tokens that integrate social identity into Web 3.0 and DeFi space to unlock new realms.

www.cryptotimes.io

 

현재 :

 

출처 : 골드스푼

 

 

미래 :

 

출처 : CRYPTOTIMES.IO

댓글